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9

구획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오늘은 구획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의 구획 증후군(compartment syndrome)은 근육을 감싸고 있는 근막이 형성하는 주머니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여, 그 안에 존재하는 근육, 신경, 혈관 등이 손상을 입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으로는 근막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여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구획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그 공간 내의 조직들이 압박을 받아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조직 손상과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구획 증후군(compartment syndrome)은 근육을 감싸는 근막 안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거나, 정상 압력.. 2024. 7. 8.
라임병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오늘은 라임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의라임병(Lyme disease)은 참진드기 등에 물려서 감염되는 감염질환으로, 나선형의 보렐리아(Borrelia)균이 원인입니다. 이 병은 초기 증상으로 발열, 두통, 피로감과 함께 이동홍반(erythema migrans)이라는 피부병변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동홍반은 중앙이 연하고 가장자리가 붉은, 일명 황소 눈 모양의 피부 증상입니다.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보렐리아균이 수일에서 수주 사이에 몸의 여러 장기로 퍼져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으로는 뇌염, 말초신경염, 심근염, 부정맥, 근골격계 통증 등이 있습니다.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이며, 이를 놓치면 만성화되어 치료가 어렵.. 2024. 7. 7.
퇴행성 관절염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오늘은 퇴행성 관절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의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점진적으로 손상되거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 염증과 통증이 생깁니다.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며, 주요 특징과 원인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일차성 또는 특발성 관절염: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발생하며, 주로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이차성 또는 속발성 관절염: 외상, 질병, 기형 등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명확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원인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관.. 2024. 7. 6.
골육종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오늘은 골육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의육종(sarcoma)은 뼈나 연부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암)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암들이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것과 달리, 육종은 간엽 조직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생길 수 있으며, 특히 사지의 근육, 신경, 지방 등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골육종(osteosarcoma)**은 뼈에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종양 중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주로 10대의 왕성한 성장기에 발생하며, 남자에게 더 많이 나타납니다. 미국에서는 연간 500~1,000명, 우리나라에서는 약 100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원인 골육종의 발병 원인은 일반적인 성인 암의 발병 원인과 다릅니다. 성인 암의 흔.. 2024. 7. 5.
피로골절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오늘은 피로골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의피로골절은 정상적인 뼈가 반복적인 부하를 견디지 못해 발생하는 불완전 골절로, 과사용 손상의 일종입니다. 이러한 골절은 주로 달리기, 점프 등의 활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운동선수나 군인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더 나아가, 피로골절은 드물게 완전 골절로도 진행될 수 있습니다.  원인피로골절은 뼈가 반복적인 부하를 견디지 못해 발생하는 골절로,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반복적인 스트레스:달리기, 점프, 걷기 등 반복적인 신체 활동이 지속되면 뼈에 미세한 손상이 누적됩니다.신체 활동의 빈도, 강도, 지속 시간이 갑작스럽게 증가할 때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부적절한 운동 계획:갑작.. 2024. 7. 4.
각기병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오늘은 각기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의각기병(beriberi)은 티아민(비타민 B1)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각기병'이라는 이름은 '나는 할 수 없어, 나는 할 수 없어(I can't, I can't)'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스리랑카 원주민의 언어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이 질병은 특히 정제된 쌀을 주식으로 먹는 경우에 흔히 발생하며, 몇 주간 정제된 쌀만 먹을 때 발병할 수 있습니다.티아민은 열량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경계, 피부, 근육, 소화기 등 여러 중요한 장기에서 특히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이로 인해 티아민 결핍 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경계 증상으로는 다발성 신경염, 근육 약화, 그리고 심각한 경우 심부전과 같은 .. 2024. 7. 2.
터너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오늘은 터너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의터너 증후군(Turner syndrome)은 성염색체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주로 여성에게서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한 개의 X 염색체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결핍되어 발생합니다.  원인터너 증후군의 원인터너 증후군은 X 염색체의 결함으로 발생합니다. 정상 여성은 46,XX의 성염색체를 가지지만, 터너 증후군 환자는 다음과 같은 핵형을 가질 수 있습니다:45,X (모노소미 X): 약 42%의 환자에서 관찰되며, X 염색체가 하나만 존재합니다.모자이크형 (45,X/46,XX): 약 11%의 환자에서 두 종류의 세포가 존재하며, 일부 세포는 45,X, 다른 일부는 46,XX입니다.구조 이상: 두 번째 X 염색체.. 2024. 7. 1.
비만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오늘은 비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의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비만이라고 합니다. 체중은 많이 나가지만 근육량이 증가해 있고 지방량이 많지 않은 경우는 비만으로 부르지 않습니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합니다. 서양인은 30 이상이며, 인종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에서는 25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나, 이 기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습니다. 지방 조직의 주요 성분은 혈장으로부터 유입된 지방산과 포도당이 에스테르화한 중성지방입니다.   원인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발됩니다. 유전.. 2024.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