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
오늘은 호지킨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의
**호지킨병(Hodgkin's lymphoma, 혹은 Hodgkin's disease)**은 림프계(면역계를 구성하는 체계)의 암 중 하나로, **비정상적인 림프구(주로 B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림프절이 비대해지고, 점차 다른 장기로 퍼질 수 있는 악성 질환입니다.
원인
호지킨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에서 면역계 이상, 바이러스 감염,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인
- Epstein-Barr 바이러스 (EBV) 감염
- 일부 호지킨 림프종 환자에서 EBV(헤르페스 바이러스 계열) DNA가 발견됨.
- 특히 혼합세포형(mixed cellularity type) 호지킨병과 연관이 있음.
- 면역 기능 저하
- HIV 감염자,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 치료 중인 사람들에서 발병 위험 증가.
- 자가면역질환 환자(예: 루푸스)에서도 약간의 위험 증가 가능성 있음.
- 가족력
- 직계 가족 중 호지킨병 환자가 있으면 발병 위험이 다소 증가함.
- 그러나 유전성 암은 아님, 단지 유전적 감수성이 관여할 수 있음.
- 연령과 성별
- 20~30대 젊은 층, 또는 60세 이상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 (양봉형 연령 분포).
- 남성이 약간 더 많이 발생.
- 환경적 요인
- 특정 직업(예: 살충제, 방사선 노출)과의 관련성이 제시되었지만, 명확한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음.
증상
✅ 주요 증상
- 무통성 림프절 비대
- 가장 흔한 증상.
- 목(경부), 겨드랑이, 사타구니 림프절이 붓고 만져짐.
- 통증은 거의 없지만, 음주 후 림프절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특이 증상).
- B 증상 (전신 증상)
이들은 병기 결정 및 치료 계획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발열 (특히 원인 모를 간헐적 열)
- 야간 발한 (자다가 땀으로 옷이 젖을 정도)
-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 (6개월 내 체중의 10% 이상)
- 피로감
- 지속적인 무기력, 쉽게 지침.
- 가려움증 (소양감)
- 전신성, 특히 밤에 심함.
- 일부 환자에게는 주요 증상 중 하나.
- 기침, 호흡곤란, 흉통
- 흉부 림프절이 커지면서 기관지를 압박할 경우 발생.
- 복통, 팽만감
- 복부 림프절이나 비장이 커질 때.
🧠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
- 골수 침범 시: 빈혈, 혈소판 감소
- 피부 발진, 야간 통증
치료법
ChatGPT의 말:
호지킨병 치료법은 병기(암의 진행 정도), 환자의 연령, 전신 증상 유무(B 증상),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현대의학에서는 치료 효과가 매우 높은 편이며, 조기 발견 시 완치율이 80~90% 이상입니다.
✅ 주요 치료법
- 항암 화학요법 (Chemotherapy)
-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치료법
- 가장 널리 쓰이는 약물 조합:
ABVD 요법- A: Adriamycin (도옥소루비신)
- B: Bleomycin
- V: Vinblastine
- D: Dacarbazine
- 병기와 반응에 따라 2~8주기의 치료가 시행됨.
-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 초기 병기(I~II기)에서는 항암제와 병행해 림프절 국소 부위에 조사.
- 진행성 병기에서는 일부 남아있는 종양에만 추가로 사용.
- 표적치료 및 면역치료
- 재발 또는 불응성(치료 반응이 없는 경우) 환자에서 사용.
- 예:
- 브렌툭시맙 베도틴(Brentuximab vedotin): CD30 표적 항체-약물 복합체
- PD-1 억제제(면역관문억제제): 니볼루맙(Nivolumab),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 조혈모세포 이식 (Stem Cell Transplantation)
- 고용량 항암치료 후 자기조혈모세포이식(autologous) 시행.
- 주로 재발 환자나 다약제 불응 환자에게 시행.
🔄 치료 반응 평가
- PET-CT를 통해 치료 효과를 중간 및 최종 확인함.
🎯 치료 예후
- 조기 병기 + B 증상 없음: 완치율 90% 이상
- 진행성 병기라도 치료 반응이 좋으면 생존율이 매우 높음
- 재발 시에도 고강도 치료와 이식으로 치료 가능
오늘은 호지킨병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