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편도결석이란 무엇인가?

by 잡다구니 2025. 5. 16.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

오늘은 편도결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편도결석

 

 

 

 

정의 

편도결석(tonsillolith)은 **편도(편도선)**의 틈이나 구멍(편도암소, tonsillar crypts)에 음식물 찌꺼기, 세균, 점액, 각질 등이 쌓여 굳으면서 생기는 작고 단단한 덩어리입니다. 일반적으로 하얗거나 노란색을 띠며, 크기는 쌀알만 한 것부터 그보다 큰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

편도결석(tonsillolith)의 주요 원인은 편도(특히 구개편도)의 구조적 특성과 구강 위생, 면역 반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편도결석의 주요 원인

1. 편도의 구조적 특성

  • 편도에는 ‘편도암소(tonsillar crypts)’라는 작은 홈이나 주머니가 존재합니다.
  • 이 틈에 음식물 찌꺼기, 세포 잔해, 점액, 세균 등이 들어가고, 이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면 쌓여서 딱딱하게 굳어 결석이 됩니다.

2. 만성 편도염 또는 반복적인 감염

  • 감기, 인후염 등을 자주 앓거나 만성 편도염이 있는 경우 편도에 염증이 반복되면서 편도암소가 더 깊어지고 넓어질 수 있습니다.
  • 그 결과 이물질이 더 잘 쌓이고 배출이 어려워지면서 결석이 잘 생깁니다.

3. 구강 위생 부족

  • 칫솔질을 소홀히 하거나 혀, 잇몸 등 구강 전체를 깨끗이 관리하지 않으면 세균과 음식물 찌꺼기가 축적되어 결석의 재료가 됩니다.

4. 입으로 숨 쉬는 습관 (구강호흡)

  • 코막힘, 알레르기 비염 등으로 입으로 숨 쉬는 습관이 있으면 입안이 건조해지고 침의 자정작용이 떨어져 세균 증식과 이물질 축적이 쉬워집니다.

5. 타액(침) 분비 저하

  • 침은 구강 내 세균과 이물질을 씻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침이 부족하거나 입이 자주 마르면 편도 내 이물질 배출이 어려워져 결석이 생기기 쉽습니다.

6. 흡연 및 음주

  • 흡연은 입안의 세균 균형을 무너뜨리고, 음주는 입안을 건조하게 만들어 결석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증상

편도결석(tonsillolith)은 대부분 작은 크기일 경우 뚜렷한 증상이 없거나 가볍게 지나가지만, 결석이 커지거나 반복적으로 생기면 다양한 불편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의 주요 증상

1. 구취(입 냄새)

  •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 편도결석은 세균과 단백질 분해물로 구성되어 있어 황화합물 등 악취 물질을 발생시킵니다.
  • 양치나 가글로 일시적으로 완화되지만, 다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2. 목의 이물감

  • “목에 뭔가 걸린 느낌”, “작은 알갱이가 붙어 있는 느낌” 등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 결석이 편도암소에 끼어 있거나 헐렁하게 붙어 있을 때 이런 느낌이 심해집니다.

3. 삼킬 때 불편함 또는 통증

  • 결석이 크거나 편도에 염증을 유발하면 삼킬 때 통증 또는 압박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편도에 하얀 또는 노란 덩어리가 보임

  • 입을 크게 벌리고 거울로 보면, 편도에 하얗거나 노란색 작은 결석이 보일 수 있습니다.
  • 때로는 기침이나 재채기, 말할 때 튀어나오기도 합니다.

5. 귀 통증

  • 드물지만, 편도와 귀는 신경이 연결돼 있어 편도 부위의 자극이 귀 통증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6. 편도 부종 또는 염증

  • 반복되는 결석은 편도염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목의 통증, 붓기, 열감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증상 요약표

증상설명
✅ 구취 심한 입 냄새, 양치해도 반복됨
✅ 목의 이물감 뭔가 걸린 듯한 느낌
✅ 삼킴 곤란 통증 또는 불편감
✅ 눈에 보이는 결석 하얀 덩어리, 재채기나 기침 시 튀어나올 수 있음
⬅ 귀 통증 신경 연결로 인해 귀까지 아픈 듯함
⬆ 편도염 증상 반복 염증, 붓기, 발열 등

 

 

 

 

치료법

편도결석(tonsillolith)의 치료법은 결석의 크기, 증상의 유무, 반복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부분은 간단한 자가 관리로 해결되지만, 반복적이거나 크기가 큰 결석, 또는 편도염 동반 시에는 의료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치료 방법

1. 🧼 자가 제거

작고 표면에 드러난 결석은 집에서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방법:

  • 면봉, 물티슈, 귀이개 등을 사용해 살살 눌러서 밀어냅니다.
  • 구강 세정기(워터픽): 약한 수압으로 편도를 세척하여 결석을 제거합니다.
  • 입 가글: 소금물, 구강청결제를 사용해 세균과 찌꺼기를 줄입니다.

⚠️ 주의: 강하게 누르거나 손을 깊이 넣는 것은 편도 손상,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2. 🧪 약물 치료

편도결석이 염증을 동반하거나 통증, 열이 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약물이 쓰일 수 있습니다.

  • 항생제: 세균 감염이 의심될 때 사용
  • 진통제/소염제: 통증이나 부기 완화

※ 약물은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수 있으며, 근본적인 제거 방법은 아닙니다.

3. 🧑‍⚕️ 의료 기관에서의 제거

  • 내과, 이비인후과에서 직접 보면서 제거해 줄 수 있습니다.
  • 흡입기구, 큐렛 등 특수한 도구로 안전하게 제거합니다.

4. 🔁 반복 재발 시 – 편도절제술(편도 제거 수술)

  • 결석이 반복적으로 생기고, 구취, 통증 등으로 삶의 질이 떨어질 경우 고려됩니다.
  • 특히 만성 편도염이 동반된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편도절제술 장단점:

장점단점
결석 재발 차단 수술 후 통증, 출혈 가능성
만성 편도염 예방 전신마취 필요
구취 해결 회복 기간 필요 (1~2주)
 

✅ 함께 실천할 수 있는 예방법

  •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
  • 입호흡 줄이기 (비염 치료 등)
  • 충분한 수분 섭취
  • 정기적인 이비인후과 검진

 

 

 

 

 

 

오늘은 편도결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