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첨족보행이란 무엇인가?

by 잡다구니 2025. 7. 9.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

오늘은 첨족보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첨족보행

 

 

 

정의

**첨족보행(踮足步行, tiptoe walking)**은 발뒤꿈치를 지면에 닿지 않고 발가락(발 앞부분)만을 사용해 걷는 방식을 말합니다. 즉, 정상 보행과 달리 발끝으로만 걸어 다니는 것을 의미합니다. 발뒤꿈치를 지면에 닿지 않게 하고, 발끝(전족부)으로만 걷는 비정상적인 보행 형태입니다.

 

 

 

원인

첨족보행의 주요 원인

1. 정상 발달의 일부 (생리적 첨족보행)

  • 대상: 보통 2~3세 이하의 유아
  • 설명: 걸음마 초기에는 발끝으로 걷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사라짐
  • 예후: 대부분 5세 이전에 저절로 정상 보행으로 전환됨

2. 습관성 첨족보행 (Idiopathic toe walking)

  • 대상: 특별한 의학적 원인 없이 3세 이후에도 지속되는 경우
  • 설명: 아이가 습관적으로 발끝으로 걷는 것
  • 특징:
    • 신경학적 이상 없음
    •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지 않음
    • 유연성은 정상인 경우가 많음
  • 예후: 일부는 성장하면서 개선되지만,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음

3. 신경학적 질환

🧠 뇌성마비 (특히 경직형)

  • 특징: 근육 경직으로 인해 종아리 근육이 짧아지고 발끝으로 걷게 됨

⚡ 척수이상 또는 말초신경 손상

  • 신경 지배 이상 → 보행 패턴 변화

💢 근긴장 이상증, 근육긴장저하증

  • 비정상적인 근육 긴장도

4. 근골격계 질환

⏳ 아킬레스건 구축 (짧아진 경우)

  • 발뒤꿈치를 내릴 수 없음

🦶 선천성 족부기형 (예: 마제당첨족, 말초내반족 등)

  • 기형으로 인한 비정상 보행

5. 발달 장애 및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 일부 자폐아동에서 감각 처리 문제 또는 행동적 특징으로 발끝 보행이 나타날 수 있음

📌 요약 표

원인 분류설명특징
생리적 정상 발달과정에서 나타남 5세 이전 자연 소멸
습관성 특별한 이상 없음 지속 시 치료 필요
신경학적 뇌성마비, 신경 손상 등 근경직, 감각이상 동반
근골격계 아킬레스건 구축 등 발 해부학적 문제
발달장애 자폐스펙트럼 등 감각 이상, 반복 행동

 

 

 

 

 

 

증상

첨족보행의 주요 증상

1. 보행 자세의 이상

  •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지 않음
  • 항상 또는 간헐적으로 발끝으로만 걷기
  • 키가 더 커 보이는 보행 모습
  • 종종 까치발 자세 유지

2. 근육 및 관절 관련 변화

  • 종아리 근육 과발달 (비복근 비대): 발끝으로 걷다 보니 종아리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단단하거나 두꺼워짐
  • 아킬레스건 단축: 시간이 지날수록 뒤꿈치를 내리기 어려워짐
  • 발목 가동 범위 제한 (특히 배측굴곡↓)

3. 기능적 문제

  • 걷거나 뛸 때 쉽게 균형을 잃거나 넘어짐
  • 오래 걷거나 뛰면 피로 호소
  • 계단 오르내리기 어려움
  • 신발 뒤축이 닳지 않음 → 항상 앞부분만 닳음

4. 동반 증상 (특정 질환 동반 시)

원인동반 증상
뇌성마비 경직, 반사 이상, 운동 지연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감각 민감성, 사회적 상호작용 부족, 반복 행동
근골격계 질환 발 모양 이상, 걸을 때 통증
습관성 첨족보행 그 외 특별한 이상 없음
 

🧠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

다음과 같은 경우엔 전문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 3세 이후에도 계속 발끝으로 걷는 경우
  • 발을 땅에 닿게 하려 해도 안 되는 경우
  • 다른 운동 발달 지연(달리기, 점프 등)이 있는 경우
  • 자주 넘어지거나, 보행이 불안정한 경우
  • 가족력이 있는 경우

 

 

 

 

치료법

첨족보행 치료법 요약

치료 접근법적용 대상설명
관찰 및 추적 관찰 생리적 첨족보행 5세 이전의 자연적인 발달 과정이면 정기 관찰
물리치료 습관성 또는 근육 단축 동반 시 스트레칭, 자세 교정, 균형 훈련 등
보조기 착용 아킬레스건 단축, 습관성 발뒤꿈치를 땅에 닿게 유도 (발목-발 보조기 AFO 등)
석고 고정 경직이나 구축이 심한 경우 일정 기간 발목을 중립 자세로 유지해 근육을 늘림
약물치료 (보툴리눔 톡신) 뇌성마비 등 경직성 첨족보행 종아리 근육의 과긴장을 완화함
수술 비수술 치료 실패 시 아킬레스건 연장술, 발의 정렬 교정 수술 등
행동치료 / 감각통합치료 자폐 스펙트럼 동반 시 감각 민감성, 보행 패턴 교정을 위한 치료
 

🔹 1. 관찰 (Watchful Waiting)

  • 대상: 2~5세 미만의 생리적 첨족보행
  • 방법: 특별한 치료 없이 정기적으로 경과 관찰

🔹 2. 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 스트레칭: 아킬레스건, 종아리 근육 늘리기
  • 강화 운동: 발목 배측굴곡근, 균형 능력 향상
  • 정상 보행 훈련: 발뒤꿈치 닿게 걷기 훈련

🔹 3. 보조기 착용 (Orthotic devices)

  • AFO (Ankle-Foot Orthosis): 밤이나 낮에 착용해 뒤꿈치 접지 유도
  • 동적 보조기: 걸을 때 발 뒤꿈치 유도 보조

🔹 4. 보툴리눔 톡신 주사 (Botox injection)

  • 대상: 경직성 뇌성마비, 근육 과긴장 아동
  • 작용: 종아리 근육(비복근 등)의 긴장을 낮춰 뒤꿈치가 닿게 유도
  • 효과 지속: 3~6개월 정도, 반복 시술 가능

🔹 5. 석고 고정 (Serial Casting)

  • 방법: 점진적으로 발목을 늘려가며 석고 고정
  • 기간: 일반적으로 4~6주 정도
  • 효과: 아킬레스건과 종아리 근육의 점진적 신장

🔹 6. 수술 (Surgery)

  • 적응증:
    • 보존적 치료로 효과 없는 경우
    • 아킬레스건이나 종아리 근육 구축 심한 경우
  • 종류:
    • 아킬레스건 연장술 (heel cord lengthening)
    • 연부 조직 해리술

⚠️ 치료 시작 시기

  • 5세 이후에도 첨족보행 지속 시 적극적 평가 필요
  • 보행으로 인한 기능 제한이나 통증이 있으면 치료 필요
  • 신경학적 이상이 의심될 경우 소아 재활의학과, 신경과 진료 권장

 

 

 

 

 

 

 

오늘은 첨족보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