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대결절이란 무엇인가?

by 잡다구니 2025. 5. 19.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

오늘은 성대결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성대결절

 

 

 

정의

성대결절(聲帶結節, vocal cord nodules)은 성대에 발생하는 작은 양성(benign) 종양입니다. 주로 성대의 과도한 사용이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생깁니다. 성대결절은 성대의 점막에 작은 혹처럼 나타나며, 이로 인해 발음에 영향을 미치고 목소리가 거칠거나 쉰 목소리가 나는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된 원인은 과도한 발음, 목소리의 부적절한 사용, 장시간 고음으로 말하거나 노래하는 등의 습관입니다. 교사, 가수, 연설가와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자주 겪을 수 있습니다. 성대결절은 일반적으로 양측에 각각 한 개씩 나타나며, 성대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인

성대결절의 주요 원인은 성대를 과도하거나 잘못 사용하는 데 있습니다. 반복적인 물리적 자극이 성대 점막에 마찰과 손상을 일으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절(작은 혹)이 생기게 됩니다.

대표적인 원인

1. 과도한 음성 사용

  • 소리를 자주, 오래 지르는 경우
    예: 교사, 어린이, 콜센터 직원, 강사, 운동 코치 등
  • 노래를 과하게 하거나 무리한 발성
    특히 고음을 자주 내는 가수, 성악가 등

2. 잘못된 발성 습관

  • 목에 힘을 주고 말하기
  • 성대를 조여서 소리 내기
  • 가슴이나 복식호흡이 아닌 얕은 호흡으로 말하기

3. 목소리를 많이 쓰는 환경

  • 시끄러운 환경에서 큰 소리로 말해야 하는 경우
  • 마이크 없이 강의하거나 말할 때

4. 음성 위생 부족

  • 물을 적게 마시고, 목이 자주 마름
  • 흡연, 음주
  • 카페인 과다 섭취 (탈수 유발)
  • 감기나 인후염 후 목소리를 쉬지 않고 계속 사용

5. 기타 요인

  • 위식도 역류(역류성 후두염): 위산이 목에 닿아 성대를 자극
  • 알레르기나 환경적 자극 (미세먼지, 건조한 공기 등)

 

 

 

 

 

 

증상

성대결절의 대표적인 증상은 성대에 혹이 생기면서 나타나는 목소리 변화와 불편감입니다. 결절이 성대의 정상적인 진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발성과 음질에 문제가 생깁니다.

주요 증상

1. 쉰 목소리 (음성 변화)

  • 가장 흔한 증상
  • 목소리가 탁하거나 거칠고, 예전보다 맑지 않음

2. 목소리의 피로

  • 말을 조금만 해도 목이 쉽게 피곤하거나 아픔
  • 오래 말하거나 노래하기 힘듦

3. 목소리의 끊김 또는 떨림

  • 말하다가 소리가 중간에 끊기거나 흔들림
  • 특히 고음 발성이 어려워짐

4. 목에 이물감 또는 뭔가 걸린 느낌

  • 마치 목 안에 가래가 끼어 있는 것 같은 느낌
  • 자꾸 목을 가다듬거나 기침하게 됨

5. 발성 시 통증 또는 불편감

  • 특히 말을 많이 하거나 노래한 후
  • 목 깊숙한 부분이 당기거나 쓰림

🧒 어린이의 경우

  • 소리를 자주 지르는 아이는 목소리가 항상 쉰 경우가 많고,
    보호자가 아이의 "허스키한 목소리"를 타고난 줄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증상이 지속될 경우?

  • 단순한 인후염이 아니라 성대결절일 수 있으므로,
    2주 이상 쉰 목소리가 지속되면 이비인후과(음성 클리닉) 방문을 권장합니다.

 

 

 

 

치료법

성대결절의 치료는 결절의 크기, 증상 정도,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부분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며, 올바른 발성 습관을 기르는 것이 핵심입니다.

1차 치료: 음성 치료(음성 재활)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

전문 음성치료사와 함께 하는 발성 훈련을 통해,
잘못된 발성 습관을 교정하고 성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입니다.

포함 내용:

  • 복식 호흡 훈련
  • 성대 긴장 완화 훈련
  • 발성 자세와 음역대 조절
  • 무리하지 않는 말하기/노래하기 훈련

🔄 지속적인 훈련으로 대부분의 결절이 자연적으로 흡수·소실될 수 있습니다.

🛑 음성 휴식

  • 목소리를 가능한 한 적게 사용하고,
  • 소리 지르거나 속삭이는 것조차 피해야 함
    (속삭임도 성대에 자극을 줄 수 있음)

💊 약물 치료 (보조적)

  • 직접적으로 결절을 없애진 않지만,
    동반된 염증, 부기, 위산 역류 등을 줄이는 데 도움
    • 예: 항염증제, 위산억제제(PPI), 항히스타민제 등

🔬 2차 치료: 수술 (드물게 필요)

수술적 절제 (Microlaryngoscopic surgery)

  • 음성치료로 호전되지 않거나,
  • 결절이 너무 크거나 오래된 경우 시행
  • 전신마취 후 미세수술기구로 결절 제거

⚠️ 수술 후에도 반드시 음성치료 병행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예방 및 재발 방지

  • 물 자주 마시기 (수분 보충)
  • 무리한 발성 피하기
  • 금연·금주
  • 위식도역류, 알레르기 등 동반 질환 관리
  • 시끄러운 환경에서 말할 때 마이크 사용

정리하자면:

치료법설명효과
음성 치료 발성 습관 교정, 성대 회복 유도 ⭐ 매우 효과적
음성 휴식 과도한 성대 사용 중단 보조적 효과
약물 치료 부기·염증 감소 (원인 완화 목적) 보조적
수술 치료 크고 오래된 결절 제거 제한적 필요

 

 

 

 

 

 

오늘은 성대결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