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호지킨 림프종이란 무엇인가?

by 잡다구니 2025. 5. 1.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

오늘은 비호지킨 림프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호지킨 림프종

 

 

 

정의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NHL)**은 면역계를 구성하는 림프구에서 발생하는 림프종(Lymphoma) 중 하나로, 호지킨 림프종(Hodgkin Lymphoma) 이 아닌 모든 림프종을 통틀어 부르는 질환입니다.

 

 

 

원인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NHL)**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여러 가지 **위험 요인(risk factors)**이 질병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인:

  1. 면역 기능 저하
    •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
    • 선천성 면역결핍 질환
    • HIV/AIDS 같은 후천적 면역 결핍
  2. 바이러스 감염
    • Epstein-Barr 바이러스 (EBV): 버킷 림프종 등과 관련
    • HTLV-1 (T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성인 T세포 백혈병/림프종과 관련
    • Hepatitis C virus (HCV): B세포 림프종과 연관
    • HIV: 전반적인 비호지킨 림프종 위험 증가
  3. 세균 감염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H. pylori): 위 MALT 림프종(점막 관련 림프조직 림프종)과 관련
  4. 자가면역 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전신홍반루푸스(SLE) 등
  5. 방사선 또는 화학물질 노출
    • 과거 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 치료
    • 농약, 제초제, 솔벤트(용제) 등 산업용 화학물질
  6. 유전적 요인
    • 가족 중 림프종 환자가 있는 경우 약간의 위험 증가
  7. 나이 및 성별
    • 대부분의 경우 **중년 이상(평균 60세 전후)**에서 발생
    • 일부 아형은 남성에게 더 흔함

 

 

 

 

 

 

증상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NHL)**의 증상은 림프종의 종류, 병기(진행 정도), 발생 부위에 따라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 주요 증상

1. 림프절 비대 (무통성)

  •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서 딱딱하고 통증 없는 덩어리가 만져짐
  • 가장 흔한 초기 증상

2. 전신 증상 (B 증상)

  • 발열(특히 야간 발한)
  • 원인 불명의 체중 감소 (6개월 내 체중의 10% 이상)
  • 만성 피로감
  • 이런 증상들이 있으면 병이 더 진행된 경우일 수 있음

3. 국소적 증상 (병변 위치에 따라 다름)

  • 복부 림프종: 복통, 팽만감, 소화불량
  • 흉부 림프종: 기침, 호흡곤란, 흉통
  • 중추신경계 침범: 두통, 시야 이상, 경련, 마비
  • 피부 림프종: 피부 발진, 가려움, 결절

4. 비장 또는 간 비대

  • 왼쪽 상복부 통증 또는 불쾌감

⚠️ 참고

  • 서서히 진행되는 저등급 림프종은 오랜 시간 증상이 없을 수 있음
  • 반대로, 고등급 림프종은 증상이 빠르게 나타나고 진행이 급속함

 

 

 

 

치료법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NHL)**의 치료는 림프종의 아형(subtype), 병기(stage), 환자의 전신 상태, 나이 등에 따라 달라지며, 다음과 같은 치료법들이 단독 또는 병합으로 사용됩니다.

✅ 주요 치료법

1. 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

  •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
  • CHOP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Prednisone) 등이 대표적인 약물 조합
  • 고등급(B세포성 림프종 등)에서는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

2. 면역항암치료 (Immunotherapy)

  • 가장 대표적인 약제: 리툭시맙(Rituximab) → CD20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
  • 대부분의 B세포 림프종에서 화학요법과 **병합 치료(R-CHOP)**로 사용

3.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 국소 부위에 국한된 림프종이거나, 병합요법의 일환으로 사용
  • 특히 초기 병기(1~2기)의 저등급 림프종에서 사용됨

4. 표적치료제 (Targeted Therapy)

  • 특정 유전자 이상이나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신약들
  • 예: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ibrutinib), BCL2 억제제 등

5. 조혈모세포 이식 (Stem Cell Transplantation)

  • 재발하거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 고용량 항암제 치료 후 자가 또는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이식
  • 젊고 건강한 환자에게 적합

6. 경과 관찰 (Watchful Waiting)

  • 진행이 매우 느린 저등급 림프종에서는 당장 치료하지 않고 경과를 관찰하기도 함
  • 증상이 없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 선택

💡 치료 예시

아형치료 방법
고등급 B세포 림프종 R-CHOP, 이후 필요시 이식 고려
저등급 MALT 림프종 H. pylori 제균, 경과 관찰 또는 저강도 항암제
피부 T세포 림프종 피부 방사선, 광선치료, 표적치료

 

 

 

 

 

 

오늘은 비호지킨 림프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