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경부암이란 무엇인가?

by 잡다구니 2025. 5. 10.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

오늘은 두경부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두경부암

 

 

 

정의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은 머리와 목 부위에 생기는 암을 통칭하는 말로, 주로 다음과 같은 부위에 발생합니다:

  • 구강(입안)
  • 인두(목구멍):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 등
  • 후두(성대가 있는 기관)
  • 비강 및 부비동(코 안과 주변 공간)
  • 침샘

 

 

 

원인

🔥 1. 흡연 (담배)

  •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
  • 담배 연기 속 발암 물질이 구강, 인두, 후두 점막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암을 유발합니다.
  • 비흡연자보다 두경부암 위험이 수 배 이상 높습니다.

🍷 2. 음주 (특히 과음)

  • 알코올은 점막 손상을 유발하고, 발암물질의 흡수를 높입니다.
  • 흡연과 함께하면 **상승 효과(synergistic effect)**로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 3. HPV 감염 (인유두종바이러스)

  • 특히 HPV-16형이 구인두암(편도암, 혀뿌리암 등)과 관련 깊습니다.
  • 최근 젊은 비흡연자에서 HPV 관련 두경부암 발생이 증가 중입니다.
  • 성접촉을 통한 감염이 주요 경로입니다.

☠️ 4. EBV 감염 (Epstein-Barr Virus)

  • **비인두암(코 뒤쪽 부위에 생기는 암)**과 관련 있음.
  • 일부 지역(예: 중국 남부, 동남아)에서 특히 흔합니다.

☢️ 5. 직업적·환경적 요인

  • 석면, 니켈, 목재 분진, 페인트 등 화학 물질 노출
  • 자외선 노출: 입술암 발생 위험 증가

🧬 6. 유전적 요인 및 가족력

  • 직접적인 유전보다는 암에 취약한 체질이나 생활 습관이 유사해서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7. 구강 위생 불량

  • 만성적인 점막 자극, 잘 맞지 않는 틀니 등도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증상

📌 공통적인 주요 증상들

증상설명
🔹 목의 혹이나 멍울 통증 없는 덩어리가 서서히 커질 수 있으며 림프절 전이일 가능성 있음
🔹 지속적인 목쉼 또는 목소리 변화 2주 이상 지속되면 후두암 의심
🔹 삼키기 어려움 또는 통증 인두암, 식도 주변 암 가능성
🔹 입안의 궤양, 덩어리, 하얀/빨간 반점 구강암의 전조 증상일 수 있음
🔹 한쪽 귀의 통증 인두나 편도 부위 암의 연관 통증일 수 있음
🔹 원인 불명의 체중 감소 전신적인 암의 징후
🔹 코막힘, 코출혈, 이물감 비강/부비동암 관련 가능성
 

📍 부위별 증상 요약

1. 구강암

  • 입안 궤양이 2주 이상 낫지 않음
  • 혀, 잇몸, 입술의 덩어리나 통증
  • 틀니 착용 시 통증

2. 인두암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

  • 음식 삼키기 어려움
  • 인두 통증 및 이통(귀로 통증이 퍼짐)
  • 코막힘, 코출혈 (특히 비인두암)

3. 후두암

  • 목소리 변화, 쉰 목소리
  • 숨쉬기 어려움 (심한 경우)
  • 만성 기침

4. 침샘암

  • 귀 밑, 턱 밑, 입 안쪽에서 만져지는 혹
  • 얼굴의 감각 이상이나 마비

 

 

 

 

치료법

🔷 1. 수술적 치료 (수술로 암 제거)

특징:

  • **초기 암(1~2기)**에 효과적
  • 종양이 명확히 국한되어 있을 때 가장 이상적
  • 경우에 따라 목 림프절 절제술 병행

단점:

  • 음성, 삼킴 기능 등 일부 부위는 기능 손상 가능성
  • 수술 부위에 따라 외형 변화 우려

🔷 2.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특징:

  • 국소 치료로, 수술 없이도 암을 제거하거나 수술 후 재발 방지에 사용
  • 특히 HPV 관련 구인두암에서 단독 방사선 치료도 효과적

장점:

  • 정상 조직 보존 가능성 높음 (조기 발견 시)
  • 음성, 삼킴 기능 유지 가능

단점:

  • 피부 염증, 구강 건조증, 미각 저하, 피로감 등 부작용

🔷 3. 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

특징:

  • 단독보다는 주로 방사선 치료와 병행(CCRT)
  • 전이된 암이나 재발 암, 진행성 암에서 사용

약제 예:

  • 시스플라틴, 5-FU, 세툭시맙(표적치료제)

단점:

  • 전신 부작용: 구토, 탈모, 면역력 저하 등

🔷 4. 표적치료 & 면역치료 (선택적 적용)

  • 표적치료제: EGFR을 표적으로 하는 세툭시맙(Cetuximab)
  • 면역치료제: PD-1 억제제(예: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 재발성 또는 전이성 두경부암에서 사용

📊 치료 조합 예시

암 병기치료 방법
1~2기 (초기)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 단독
3~4기 (진행) 수술 + 방사선, 또는 방사선 + 항암치료 병합
재발/전이 항암 + 표적 또는 면역치료 고려
 

⚠️ 치료 후 관리

  • 정기적인 추적검사
  • 음성·삼킴 재활 치료
  • 심리적·사회적 지지 필요

 

 

 

 

 

 

오늘은 두경부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