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뇌경색이란 무엇인가?

by 잡다구니 2025. 5. 20.

안녕하세요. 잡다구니입니다.

오늘은 뇌경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뇌경색

 

 

 

정의

뇌경색(Brain Infarction)은 뇌로 가는 혈류가 막히거나 줄어들어서 뇌의 일부가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해 뇌세포가 죽거나 손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흔히 뇌졸중(Stroke) 중 하나로 분류되며, 뇌경색은 대개 혈전(혈액 덩어리)이 혈관을 막거나 혈관이 좁아져서 발생합니다.

 

 

 

원인

1. 혈전(Thrombus)에 의한 혈관 폐색

  • 죽상경화증(동맥경화): 혈관 벽에 지방 성분이 쌓이면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현상.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흡연 등이 동맥경화를 유발합니다.

2. 색전(Embolus)에 의한 혈관 폐색

  • 심장이나 큰 혈관에서 떨어져 나온 혈전이나 이물질이 뇌혈관을 막음.
  • 심방세동(부정맥), 심근경색 후, 심장 판막질환 등에서 잘 생깁니다.
  • 특히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심장성 색전성 뇌경색이 흔합니다.

3. 소혈관 폐쇄 (소혈관 질환)

  • 뇌 속의 아주 작은 혈관(모세혈관)이 막히는 경우.
  • 주로 고혈압이나 당뇨병으로 인해 혈관 벽이 두꺼워지거나 좁아지는 것이 원인입니다.
  • **열공성 뇌경색(lacunar infarction)**이라고도 합니다.

4. 기타 원인

  • 혈액 질환: 과응고 상태(예: 항인지질 증후군, 혈액응고 이상 등)
  • 동맥 박리: 혈관 벽이 찢어지면서 혈액이 들어가 혈류를 막는 경우 (젊은 층에서 운동 후 발생 가능)
  • 기타 드문 유전 질환이나 자가면역 질환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요약

구분주요 원인관련 질환
혈전성 동맥경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색전성 심장에서 생긴 혈전 심방세동, 심근경색 등
소혈관성 모세혈관 막힘 고혈압, 당뇨병
기타 혈액질환, 동맥박리 등 유전 질환, 면역질환 등

 

 

 

 

 

 

증상

🧠 주요 증상 (FAST 증상 포함)

증상 구분설명
F (Face) 얼굴 마비 얼굴 한쪽이 처짐. 웃을 때 입이 한쪽으로만 움직임
A (Arm) 팔 힘 빠짐 팔이나 다리에 힘이 빠져 들어 올릴 수 없음 (한쪽 마비)
S (Speech) 언어장애 말이 어눌해지거나 말을 못함, 이해를 못하기도 함
T (Time) 즉시 119 위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함
 

📋 기타 일반적인 증상

  • 한쪽 팔다리 마비 또는 감각 저하
  • 언어장애: 말이 어눌해지거나 이해하지 못함
  • 시야 이상: 한쪽 시야가 보이지 않거나 흐릿해짐 (편측 시야 결손)
  • 심한 어지럼증 또는 균형 잡기 어려움
  • 의식 저하 또는 혼돈 상태
  • 두통: 뇌경색 자체는 보통 심한 두통이 없지만, 드물게 발생할 수 있음

🔎 증상 예시별 관련 뇌 부위

증상의심되는 부위
오른쪽 팔다리 마비 좌측 대뇌 피질
말이 어눌하거나 못함 좌측 뇌의 브로카 영역
어지럼증, 균형 장애 소뇌 또는 뇌간
시야 결손 후두엽 또는 시신경 경로
 

⚠️ 주의사항

  • 뇌경색은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시간 지연 없이 치료를 받아야 뇌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골든 타임은 약 4.5시간 이내로, 이 시간 안에 응급 치료(혈전 용해제 등)를 받으면 후유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치료법

🏥 1. 급성기 치료 (응급 치료)

⏰ 골든 타임: 4.5시간 이내

이 시간 안에 치료하면 뇌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혈전용해제 투여 (tPA)

  • 정맥으로 투여하는 약물로, 막힌 혈관을 녹여줌
  • 발병 후 4.5시간 이내 투여 가능
  • 출혈 위험이 있어 뇌출혈 여부를 CT/MRI로 확인 후 투여

혈관 내 치료 (혈전 제거술, 뇌혈관 스텐트)

  • 대혈관(큰 혈관)이 막혔을 경우, 대퇴부 혈관을 통해 기구를 넣어 직접 혈전을 제거
  • 보통 6~24시간까지 시도 가능 (상황에 따라 다름)
  • 전문 뇌혈관센터에서 시행

💊 2. 원인에 따른 약물 치료 및 2차 예방

원인치료 방법
동맥경화 (혈전성 뇌경색)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등)
심방세동 (색전성 뇌경색) 항응고제 (와파린, NOAC 계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철저한 기저 질환 관리 필수
 
  • **콜레스테롤 낮추는 약(스타틴)**도 자주 사용됩니다.
  • 금연, 운동, 식습관 개선 등 생활습관 교정도 중요합니다.

🧘 3. 재활 치료

  • 운동 재활: 마비된 팔다리의 움직임 회복
  • 언어 재활: 말하기, 이해력 회복
  • 연하 재활: 삼킴 기능 회복
  • 뇌경색 후에는 기능 회복과 2차 손상 예방을 위한 재활이 중요하며, 회복까지 수개월이 걸릴 수 있습니다.

🚑 요약

단계치료 내용
급성기 tPA 투여, 혈전 제거술 (가능 시)
약물 치료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고지혈증·고혈압 관리 등
재활 운동, 언어, 연하 등 기능 회복 훈련

 

 

 

 

 

 

오늘은 뇌경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